
📜 ADsP 자격증 시험 개요
데이터분석 준전문가란? Advanced Data Analytics Semi-Professional(ADsP) 란, 데이터 이해에 대한 기본지식을 바탕으로 데이터분석 기획 및 데이터분석 등의 직무를 수행하는 실무자를 말한다.
총 과목 수는 3과목으로, 데이터 이해, 데이터분석 기획, 데이터분석으로 나뉜다.
실기 시험은 따로 없고, 필기 시험으로만 구성되어 있으며, 문항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아래 사진과 같다. 또한 총점 60점 이상을 받아야하고, 과목별 40% 이상의 점수를 취득하여야만 합격이 된다.
그러므로 과목별로 1 과목과 2 과목에서는 4문제 이상(각 8점 이상) , 3 과목에서는 12문제 이상(24점 이상)을 받아 과락을 면하고, 총 30문제 이상을 맞아 60점 이상의 점수를 받아야 취득이 가능하다.

📝 공부 방법
ADsP를 취득함에 있어서 가장 많이 사용되고 있다는 민트책부터 당근으로 구매했다. 책이 생각보다 두껍고 내용이 많아서 놀랐지만, 결국엔 다 보긴했다. 너무 시간이 없다면, 적어도 문제 회독을 돌리면서 문제에 해당하는 개념을 개념 부분에서 찾아 읽고 학습하는 방법으로 진행해도 충분하다.
1. 이해가 안 가도 일단 문제 풀이 및 답안 해설 읽기 (문제 1회독, 풀지 않고 읽는 방식)
2. 문제와 관련된 개념 부분 찾아서 읽고 암기
3. 답안 보지 않고 문제 풀어보기 (문제 2회독)
4. 틀린거 다시 개념 부분 찾아서 암기
5. 3번 4번 n 회독

그리고 마지막 정리 할 겸, 유튜브로 정리 강의를 하나 들었는데 완전 추천한다. 진짜 놀라웠던 건 사실상 여기에서 언급하는 모든 것들이 모두 시험에 나오게 된다. "한 번 나중에 찾아보세요", "안 나오는 편인데 일단 넣어봤어요" 하는 것들까지 모두 시험에 나왔다. 그래서 2시간 동안 화면에 나오는 것들, 이야기해주는 것들이 모두 나온다고 보면 된다. 마지막에 이 영상을 보지 못했다면 방대한 양에 더 헷갈려서 취득하지 못했을 수도 있었다.
아답터 진짜 강추 (광고 아님)
🤓 접수 및 후기
집 근처에 시험장이 없기도 하고 그나마 가까운 곳도 다 만석이 되어버려서 양천구의 신목중학교까지 가서 응시를 하게 되었다. 날이 너무너무너무 더웠지만... 일단 가서 응시했다. ADsP와 ADP 가 같은 날 시험을 보기 때문에 데이터와 관련된 많은 사람들이 응시하러 왔다. 하지만 그렇게 많은 사람들이 응시하러 왔는데도, 내가 배정받은 고사실에는 반 정도가 결시하여 그것 또한 놀랐다.

시험을 응시하면서 말장난으로 헷갈리게 하는 문제들이 종종 있었고, 교재에서 비중있게 다루지 않은 부분에서도 출제된 것 같았다. 하지만 합격권 점수만 본다고 하면, 위의 공부 방법으로도 충분히 합격할 수 있을 것 같다는 생각이 시험 중에 들었다.
시험 후에는 가답안을 바로 맞춰봤는데, "데이터 전문가 포럼" 이라는 네이버 카페를 이용했다.
★★ 오늘 문제 복원합시다 (현재 2문제 부족) ★★ --> 답 틀린거 댓글주세요
[1과목] -- 순서는 다름 1. 지식에 해당하는 것? : A가 더 저렴해서 B보다 A에서 사야겠다 선지 ( 다른 물건도 A가 더 쌀 것이다? -> 지혜) 2. 정량...
cafe.naver.com
점수가 확실히 8월 30일에 나와봐야 알겠지만, 확실히 맞은 답안 갯수는 1과목에 8문제, 2과목에 8문제, 3과목에 17문제로 과락을 면하고 최소 66점을 받아 합격할 것 같다. 추후 업데이트 하겠다.
🎉 결과 - 합격

합격해서 ADsP를 취득하게 되었다!! ADsP와 과목이 겹치는 빅데이터 분석 기사 필기를 준비하며, 하반기 채용을 맞이해야겠다!

📜 ADsP 자격증 시험 개요
데이터분석 준전문가란? Advanced Data Analytics Semi-Professional(ADsP) 란, 데이터 이해에 대한 기본지식을 바탕으로 데이터분석 기획 및 데이터분석 등의 직무를 수행하는 실무자를 말한다.
총 과목 수는 3과목으로, 데이터 이해, 데이터분석 기획, 데이터분석으로 나뉜다.
실기 시험은 따로 없고, 필기 시험으로만 구성되어 있으며, 문항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아래 사진과 같다. 또한 총점 60점 이상을 받아야하고, 과목별 40% 이상의 점수를 취득하여야만 합격이 된다.
그러므로 과목별로 1 과목과 2 과목에서는 4문제 이상(각 8점 이상) , 3 과목에서는 12문제 이상(24점 이상)을 받아 과락을 면하고, 총 30문제 이상을 맞아 60점 이상의 점수를 받아야 취득이 가능하다.

📝 공부 방법
ADsP를 취득함에 있어서 가장 많이 사용되고 있다는 민트책부터 당근으로 구매했다. 책이 생각보다 두껍고 내용이 많아서 놀랐지만, 결국엔 다 보긴했다. 너무 시간이 없다면, 적어도 문제 회독을 돌리면서 문제에 해당하는 개념을 개념 부분에서 찾아 읽고 학습하는 방법으로 진행해도 충분하다.
1. 이해가 안 가도 일단 문제 풀이 및 답안 해설 읽기 (문제 1회독, 풀지 않고 읽는 방식)
2. 문제와 관련된 개념 부분 찾아서 읽고 암기
3. 답안 보지 않고 문제 풀어보기 (문제 2회독)
4. 틀린거 다시 개념 부분 찾아서 암기
5. 3번 4번 n 회독

그리고 마지막 정리 할 겸, 유튜브로 정리 강의를 하나 들었는데 완전 추천한다. 진짜 놀라웠던 건 사실상 여기에서 언급하는 모든 것들이 모두 시험에 나오게 된다. "한 번 나중에 찾아보세요", "안 나오는 편인데 일단 넣어봤어요" 하는 것들까지 모두 시험에 나왔다. 그래서 2시간 동안 화면에 나오는 것들, 이야기해주는 것들이 모두 나온다고 보면 된다. 마지막에 이 영상을 보지 못했다면 방대한 양에 더 헷갈려서 취득하지 못했을 수도 있었다.
아답터 진짜 강추 (광고 아님)
🤓 접수 및 후기
집 근처에 시험장이 없기도 하고 그나마 가까운 곳도 다 만석이 되어버려서 양천구의 신목중학교까지 가서 응시를 하게 되었다. 날이 너무너무너무 더웠지만... 일단 가서 응시했다. ADsP와 ADP 가 같은 날 시험을 보기 때문에 데이터와 관련된 많은 사람들이 응시하러 왔다. 하지만 그렇게 많은 사람들이 응시하러 왔는데도, 내가 배정받은 고사실에는 반 정도가 결시하여 그것 또한 놀랐다.

시험을 응시하면서 말장난으로 헷갈리게 하는 문제들이 종종 있었고, 교재에서 비중있게 다루지 않은 부분에서도 출제된 것 같았다. 하지만 합격권 점수만 본다고 하면, 위의 공부 방법으로도 충분히 합격할 수 있을 것 같다는 생각이 시험 중에 들었다.
시험 후에는 가답안을 바로 맞춰봤는데, "데이터 전문가 포럼" 이라는 네이버 카페를 이용했다.
★★ 오늘 문제 복원합시다 (현재 2문제 부족) ★★ --> 답 틀린거 댓글주세요
[1과목] -- 순서는 다름 1. 지식에 해당하는 것? : A가 더 저렴해서 B보다 A에서 사야겠다 선지 ( 다른 물건도 A가 더 쌀 것이다? -> 지혜) 2. 정량...
cafe.naver.com
점수가 확실히 8월 30일에 나와봐야 알겠지만, 확실히 맞은 답안 갯수는 1과목에 8문제, 2과목에 8문제, 3과목에 17문제로 과락을 면하고 최소 66점을 받아 합격할 것 같다. 추후 업데이트 하겠다.
🎉 결과 - 합격

합격해서 ADsP를 취득하게 되었다!! ADsP와 과목이 겹치는 빅데이터 분석 기사 필기를 준비하며, 하반기 채용을 맞이해야겠다!